티스토리 뷰
프로그래밍 대회에서 배우는 알고리즘1
chapter 6. 무식하게 풀기
6.2 재귀호출과 완전탐색
- 중첩 반복문 대체하기
- 완전탐색의 시간 복잡도:
완전탐색은 존재하는 모든 답을 하나씩 검사하므로 걸리는 시간은 가능한 답의 수에 비례한다.
해당문제의 경우는 길이 n과 선택해야하는 갯수 toPick을 입력으로 받는 경우이므로 nCtoPick, n combination toPick 만큼의 시간이 걸린다.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| // 오름차순으로 print하는 방법생각해보기 #include <iostream> #include <vector> #include <algorithm> using namespace std; void recursion(int n, int toPick, vector<int>& picked); void printPicked(vector<int> picked); int main() { int n; //숫자열의 길이 int toPick; //집합의 크기. 즉, 선택해야 하는 숫자의 갯수 cin >> n; cin >> toPick; vector<int> picked; recursion(n,toPick, picked); } // void recursion(int n,int toPick, vector<int>& picked) { //base case if (toPick == 0) { printPicked(picked); return; } // 처음 recursion함수가 호출 됐을 때, next = 0으로 하기위해. int next = picked.empty() ? 0 : picked.back() + 1; // 아직 base에 도달 못했는데, i가 n 바로 직전이면 자연스럽게 picked pop해서 해당 정답은 지워질거임 for (int i = next; i < n; i++) { picked.push_back(i); recursion(n, toPick - 1, picked); picked.pop_back(); } } void printPicked(vector<int> picked) { sort(picked.begin(), picked.end()); // 이 코드를 추가해도 정렬이 안되누.. while (!picked.empty()) { cout << picked.back() << " "; picked.pop_back(); } cout << endl; } | cs |
'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recursion 3 (0) | 2019.02.27 |
|---|---|
| recursion 2 (0) | 2019.02.27 |
댓글